반응형

오류 찾다가 오류가 안나오고 이래서 그냥 System.out.println 써서 직접 디버깅할려고 catalina.out 파일을 찾았더니

이 파일 자체가 생성이 안되고 있었다.

 

catalina.out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톰캣디렉토리에가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친다

##### bin 디렉토리로 이동
cd bin

##### catalina.sh 파일을 편집기(vi)로 연다
vi catalina.sh

 

vi로 파일을 연 상태에서 방향키로 움직여서 (또는 키보드 [ / ]키로 검색) 해당 텍스트가 있는 위치에 가서

if [ -z "$CATALINA_OUT" ] ; then

#CATALINA_OUT="$CATALINA_BASE"/logs/catalina.out 

CATALINA_OUT=/dev/null

 

키보드 [ i ]키를 눌러 insert 가능한 상태로 변하게 되면 아래와같이

[ # ]을 변경해준다.

if [ -z "$CATALINA_OUT" ] ; then

CATALINA_OUT="$CATALINA_BASE"/logs/catalina.out 

#CATALINA_OUT=/dev/null

 

그리고 빠져나오기 위해 :wq로 저장하고 나와서

톰캣을 재기동해주면

톰캣디렉토리/logs에 catalina.out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정의
여러 서버에 요청을 분산시키는 TCP 및 HTTP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가용성 로드 밸런서 및 프록시 서버를 제공하는 무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 이란?

부하 분산을 위해서 가상 ip를 통해 여러 대의 서버에 접속을 분배하는 기능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아지게되면 서버에는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1. Scale-up : 서버 사양을 높임
2. Scale-out : 부하를 여러 대의 서버에 분산함

즉, HAProxy는 Scale-out을 위해 로드밸런싱을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구성

 

https://1995-dev.tistory.com/99

L4 Switch, L7 Switch가 제공하는 로드 밸런싱 기능을 제공.
HAProxy는 오픈 소스로 소프트웨어 로드밸런싱을 기능을 제공.
HAProxy 설정 추가를 통해 Scale-Out 도 가능.
HAProxy VRRP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지원.
이중화(M / S) Master 장애 시 Slave가 Master VIP (Virtual IP)를 가져와 Master로 승격됨.
반응형
동작

https://1995-dev.tistory.com/99

1. 최초 접근 시 서버에 요청 전달
2. 응답 시 쿠키(Cookie)에 서버 정보 추가 후 반환
3. 재 요청 시 Proxy에서 쿠키 정보 확인 후 최초 요청 서버로 전달
4. 다시 접근 시 쿠키를 추가할 필요 없이 서버에 전달 (클라이언트에 쿠키 정보가 계속 존재하여 재사용)

 

출처
  1. https://leffept.tistory.com/309
  2. https://en.wikipedia.org/wiki/HAProxy
  3. https://1995-dev.tistory.com/99
반응형
반응형
#  주석 
> 명령어

 

 

쉘 접속해서 로그인 후

 

# mysql 계정 접속

> mysql -u 계정명 -p

# 입력하면 Enter password:가 나오면 비밀번호 입력

Enter password:

 

#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면 아래와같이 db 목록을 확인한다.

# (접속할 db명을 알고있다면 패스해도됨)

mysql> show databases;

 

# 원하는 db명으로 접속

mysql> use db명;

 

# 이제 쿼리를 날린다. ex) select쿼리

mysql> select * from 테이블명;

 

 

반응형
반응형

allowMultiQueries=true 


오라클에서 mysql로 쿼리 변경중에 누군가 짜놓은 오라클쿼리가

 


<update id="...DAO..." parameterType="...VO">
	DECLARE
	BEGIN
		UPDATE ... SET ... WHERE ; 
		UPDATE ... SET ... WHERE ; 
	END;
</update>

이런식으로 UPDATE가 두개가 되어있었다. 쿼리를 각각 날리려다가 실행하는방법이 있나 찾아봤더니 있긴했다.

 

방법은 ... db접속 url에 파라미터 넘겨주면된다. [allowMultiQueries=true]

 

 

url="jdbc:log4jdbc:mysql://url?allowMultiQueries=true"

 

 

위에처럼 수정후 DECLARE, BEGIN, END; 키워드 3개 지워서 아래처럼 XML 수정하면됨.

 

<update id="...DAO..." parameterType="...VO">
	UPDATE ... SET ... WHERE ; 
	UPDATE ... SET ... WHERE ; 
</update>

글쎄 .. 좋은방법은 아닌거같은데 걍해봄

 

반응형
반응형

jsp에서 컨트롤러로 list형태로 보내려고했다..

vo안에 list를 넣은 형태라서

이 list를 동적으로 삭제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index를 그때그때 변경해주려고한다.

list0

list1

list2  이런식으로 jsp에 3개가 있을때

list1의 div를 삭제시 1기준의 뒤에있는 2놈의 index 변경

$("영역").find("input").each(function(i,v){
	if( $(this).attr("name") != undefined ){
		console.log($(this).attr("name",$(this).attr("name").replace("[2]","[1]")));
	}
});

 

반응형
반응형

Message: org.springframework.web.HttpRequestMethodNotSupportedException: Request method 'GET' not supported

해당 오류는 url요청에 대해서 GET으로 받지 않는다는 오류로

컨트롤러에서 RequestMappin에서 POST형태로 전송받겠다고 명시한 경우 (method = RequestMethod.POST)

jsp에서 form전송시에 <form method="post"> 라고 명시해 주어야한다.

반응형
반응형

JEUS7 버전 이상
> su – JEUS계정   (JEUS를 기동종료하는 계정)
> dsa  (JEUS 관리자 콘솔 접속)
> si  (서버명 및 상태 확인)
> stopserver 서버명 (종료)
> startserver 서버명 (시작)


JEUS6버전
> su – JEUS계정  (JEUS를 기동종료하는 계정)
> ja  (JEUS 관리자 콘솔 접속)
> conlist (컨테이너[서버명] 및 상태 확인)
> downcon 컨테이너명 (종료)
> startcon 컨테이너명 (시작)


JEUS 로그확인
> su – JEUS계정
> jlog
> cd 서버/컨테이너명
> tail -f 로그파일명.log

 

참고링크

반응형
반응형

JAVA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실행하기위해서는 

 

1. *.java파일을 *.class파일(바이트 코드 파일)로 컴파일

2. *.class파일을 기계어로 변환 후 실행

 

순서로 이루어진다.

 

1번을 하기위해서는 자바컴파일러(javac.exe파일)를 실행해야하고

2번을 하기위해서는 JVM구동(java.exe파일)을 해야한다.

 

환경변수를 설정하게되면 javac.exe와 java.exe파일의 위치에 접근하지 않아도 어디서든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클립스와 같은 IDE는 이를 알아서 잘해주어 툴에서 실행하게되면 내가 작업한 java파일이 알아서 class파일로 변환되고 실행까지 해주기때문에 환경변수를 굳이 할 필요는 없다.

 

 

 

 

 

반응형

+ Recent posts